티스토리 뷰


1.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전통적인 임상심리사의 주요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직업으로서의 '임상심리사'로 인정받는다 함은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혹은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이 두 자격 중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모두를 갖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였으나 명칭이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로 개정됨.

2. 기본적으로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크게 학부 -> 대학원 -> 수련의 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임상심리대학원(일반대학원)에는 고려대학교 임상심리대학원, 가톨릭대학교 임상심리대학원, 중앙대학교 임상심리전공 등이 있음

3. 여기서 학부의 경우 보통은 심리학과 전공을 의미하는데, 학부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을 할 경우 임상심리 관련 자격을 취득하는 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 심리학과가 아닌 타과생이 임상심리대학원 진학을 하고자하는 경은 추후 이수해야하는 과목이나, 정신건강임상심리사 2급 자격 취득을 위해 책에 나온 QnA를 참고하면 좋을듯 함.

- < 현직 임상심리사들이 알려주는 생생한 임상심리사 진로가이드북> 중

http://m.yes24.com/Goods/Detail/91792283

현직 임상심리사들이 알려주는 생생한 임상심리사 진로가이드북

『현직 임상심리사들이 알려주는 생생한 임상심리사 진로가이드북』은 각 다섯 개의 챕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임상심리사라는 직업으로 가는 길에 대한 총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m.yes24.com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