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 기준1: 임상 및 상담 전문가에 준하는 심리상담사 근무(임상 및 상담 1급 또는 2급+3년 경력) ※ 추천 기준2: 특화 상담 분야 및 기법 보유 ※ 추천 기준3: 직접 또는 지인이 실제 경험 ※ 추천 기준4: 기업형 심리상담센터 제외 1. 치유 심리전문가그룹 상담센터 - 서울 관악구 소재 / 서울대입구역 인근 - 상담사 소지 자격: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및 상담심리사 2급 - 특징 : 청년문제와 성소수자 상담 경험 다수
※ 추천 기준1: 임상 및 상담 전문가에 준하는 심리상담사 근무(임상 및 상담 1급 또는 2급+3년 경력) ※ 추천 기준2: 특화 상담 분야 및 기법 보유 ※ 추천 기준3: 직접 또는 지인이 실제 경험 ※ 추천 기준4: 기업형 심리상담센터 제외 1. 심리상담센터 해심 - 서울 송파구 소재 / 가락시장역 인근 - 상담사 소지 자격: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 특징: 연세대학교와 서울대학교 출신 상담사 근무 2. 마음사랑 인지행동치료센터 - 서울 서초구 소재 / 이수역 인근 - 상담사 소지 자격: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 특징: 인지행동치료 전문기관으로 대부분의 상담사들이 인지행동치료 지향으로 상담을 진행함. 대표 상담사인 민병배 소장님은 예약 대..
※ 추천 기준1: 임상 및 상담 전문가에 준하는 심리상담사 근무(임상 및 상담 1급 또는 2급+3년 경력) ※ 추천 기준2: 특화 상담 분야 및 기법 보유 ※ 추천 기준3: 직접 또는 지인이 실제 경험 ※ 추천 기준4: 기업형 심리상담센터 제외 1. 연합심리상담교육센터 - 서울 마포구 소재 / 합정역 인근 - 상담사 소지 자격: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 특징: 여러 교수급 선생님들이 공동으로 근무하는 상담센터
1. 보유 자격 -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2급 -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2급 -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2급 - 한국산업인력공단 임상심리사 2급 2. 교육 훈련 수료 1) 수련 - 상담센터 임상심리전문가 및 상담심리사 수련과정 수료 - 종합병원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및 임상심리전문가 수련과정 수료 2) 심리평가 관련 교육 훈련 - SNSB-II 초급 과정 수료 - 로르샤하 교육 과정 수료 3) 심리치료 관련 교육 훈련 - 메타연구소 인지행동치료 핵심과정 1년 수료
칼럼 원제목: 'Shifting Emotional States in an Instant?' - 트라우마 치료에서 심리치료자가 민감해야 하는 부분의 내담자/환자의 각성 상태이다. 오래된 이론일 수 있지만 windows of tolerance 범위 안에 내담자가 각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야 치료 회기를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칼럼에서도 내담자의 각성 상태를 다루는 것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 - 칼럼의 저자는 내담자/환자들이 과각성 상태에서 뇌의 일정부분이 오프라인 상태이기 때문에 치료사가 이 뇌의 영역을 온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한다. 명상을 하거나 다른 주의전환 활동들이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 저각성 상태는 과각성 상태와 다른 뇌의 영역들이 연관되어..
※ 추천 기준1: 임상 및 상담 전문가에 준하는 심리상담사 근무(임상 및 상담 1급 또는 2급+3년 경력) ※ 추천 기준2: 특화 상담 분야 및 기법 보유 ※ 추천 기준3: 직접 또는 지인이 실제 경험 ※ 추천 기준4: 기업형 심리상담센터 제외 1. 나사랑심리상담센터 - 서울 성북구 소재 / 한성대입구역 인근 - 상담사 소지 자격: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 특징: 게슈탈트 치료 중심 2. 한국심리건강센터 - 서울 성북구 소재 / 성신여대 입구역 인근 - 상담사 소지 자격: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 특징: 게슈탈트 치료 및 인지행동치료 중심 3. 마음건강KU 인지행동치료센터 - 서울 성북구 소재 / 고려대 역 인근(고려대학교 교내에 위치) - 상담사 소..
칼럼 원제목: 'Why Would Anybody Become a Therapist?' - 우리나라에 비해 심리치료에 대한 인식도 크고 치료자들에 대한 대우가 좋다고 여겨지는 미국에서도 치료자의 삶은 녹록치 않아 보인다. - 그럼에도 치료자의 길을 계속 가는 이유는? - 이 칼럼에서는 치료자들이 왜 이 일을 계속 해 나가는지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내담자들을 만나면서 성장한다는 느낌' 이라고 한다. - 요즘 개인적 사정으로 많은 내담자를 만나지 못하고 있는 스스로의 상태를 되돌아 보게 되는 좋은 칼럼인 것 같다. * 자세한 내용은 칼럼 본문을 참고해주세요 http://www.psychotherapynetworker.org/blog/details/667/wh..
수 년간의 심리평가와 심리상담, 심리치료의 트레이닝 경험으로 마음이 아픈 사람들을 만난다는 것에 자신감이 있고 유능감을 느껴왔다. 몇달 전의 일이다. 처음 만나는 내담자의 정보를 얻던 중 평소와 다름 없이 내담자에게 과거 이야기를 물었고 머뭇거리던 내담자는 어떤 압박감을 느꼈는지 토해내듯이 충격적인 가정사를 짧은 문장으로 말했다. 그리고 나서 눈물을 흘리고 나를 째려보는 눈빛을 접한 순간 내 무심함과 무지함이 내담자를 아프게 하고 내담자를 보호하지 못했다는 자각을 하게 되었다. 상담동기가 부족하고 비자발적인 내담자였지만 그게 내 실수의 변명은 되지 않을 것 같다.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힘든 얘기를 꺼내게 된 것에 대해 안타까움과 사과를 건넸지만 얼마만큼 내담자에게 전달되었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다시..
- Total
- Today
- Yesterday
- 걷기기록
- 심리치료
- 맨박스
- 심리학
- 만보걷기
- 만보
- 걷기
- 임상심리전문가
- 걸음수
- 상담심리사
- 독서
- 하루걸음수
- 1인가구
- 하루만보
- 심리상담
- 건강
- 임상심리사 수련
- 캐시워크
- 임상심리학
-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상담심리학
- 구본형
- 매일걷기
- 페미니즘
- 임상심리사
- 다이어트
- 건강행동
- 남성다움
- 페미니스트
- 커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