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칼럼 원제목: 'Shifting Emotional States in an Instant?'
- 트라우마 치료에서 심리치료자가 민감해야 하는 부분의 내담자/환자의 각성 상태이다. 오래된 이론일 수 있지만 windows of tolerance 범위 안에 내담자가 각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야 치료 회기를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칼럼에서도 내담자의 각성 상태를 다루는 것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
- 칼럼의 저자는 내담자/환자들이 과각성 상태에서 뇌의 일정부분이 오프라인 상태이기 때문에 치료사가 이 뇌의 영역을 온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한다. 명상을 하거나 다른 주의전환 활동들이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 저각성 상태는 과각성 상태와 다른 뇌의 영역들이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이럴 경우 하향식 접근보다 상향식 접근(bottom-up)이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신체감각으로부터 각성을 깨는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 어찌보면 아는 아는 이야기지만 트라우마가 신경계의 작용하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심리치료사들에게 중요할 것이다.
* 원문링크
Using Neuroscience in Therapy
Shifting Emotional States in an Instant
www.psychotherapynetworker.org
'공부하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췌] 스탠퍼드 인간 성장 프로젝트 마인드셋 - 1 (0) | 2021.08.06 |
---|---|
[칼럼 소개] 심리치료자가 되려는 이유 (0) | 2021.08.05 |
장애적사고란? 장애적 사고의 총체적 모형『정신증의 로샤평가』중에서-(1) 임상심리전문가의 심리학 책 리뷰 (0) | 2020.09.03 |
편안함이란?『아름답거나 혹은 위태롭거나』중에서-(2) 임상심리전문가의 심리학 책 리뷰 (0) | 2020.08.25 |
끌림이란?『아름답거나 혹은 위태롭거나』중에서-(1) 임상심리전문가의 심리학 책 리뷰 (0) | 2020.08.23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다이어트
- 매일걷기
- 심리상담
- 만보
- 심리학
-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임상심리사 수련
- 독서
- 캐시워크
- 하루만보
- 만보걷기
- 상담심리사
- 임상심리사
- 페미니스트
- 페미니즘
- 남성다움
- 건강
- 상담심리학
- 1인가구
- 임상심리학
- 걸음수
- 커피
- 걷기
- 건강행동
- 심리치료
- 구본형
- 하루걸음수
- 걷기기록
- 맨박스
- 임상심리전문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