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일반적으로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정신보건임상심리사)' 이 두개의 자격이 가장 취득이 어려우며 전문적인 수련 과정을 필요로 하고, 임상심리 관련 취업 시 위 두 자격의 취득 여부를 최우선적으로 본다는 사실에는 전공자들의 압도적 대다수가 동의하는 바입니다.

* 대부분의 나라에서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직업은 두 가지를 요구합니다. 학위 기준과 수련이죠.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임상심리사로 일하기 위해서는 박사+1년의 임상수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건강임상심리사 2급의 경우 학부+1년의 임상수련, 임상심리전문가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은 석사+3년의 임상수련을 요구합니다.

2. 간혹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원 입시나 수련을 위해서 임상심리사 실습 과정을 추천하는 기관이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원과 수련처에서는 임상심리사 실습 과정을 경험했다는 것을 입시에 크게 쳐 주지는 않는 실정입니다.

* 진로가 불확실한 학부생분들에게 하나라도 대학원 입시에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있다면 정말 도움이 될지 모름에도 그 과정에 뛰어들게 되고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 경험상에서도 임상심리사 2급 자격은 대학원과 수련 입시보다는 공공기관 구직에 더 도움이 되는 것 같아 보입니다.

http://aladin.kr/p/mNZdx

현직 임상심리사들이 알려주는 생생한 임상심리사 진로가이드북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들과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생활 및 준비 사항, 임상심리사 수련 과정, 실무 및 진로와 현직 임상심리사들의 인��

www.aladin.co.kr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