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전문적인 임상심리사로 인정받기 위해서 정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수대학원이나 야간대학원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수련을 가기 상당히 어려울 뿐 아니라 체계적인 교육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일반대학원을 졸업한 학생들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2. 임상심리전문가라는 임상심리학회 발급 자격은 3년의 수련 기간을 요하는데, 그 중 1년은 임상심리 대학원에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1년이라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니 상당히 중요한 측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현장에 자기 학교의 선배들이 얼마나 있으며, 교류의 질은 어떠한지 미리 아는 것 또한 도움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수련 과정에 대한 정보 등이 아직도 선후배 관계나 지인 등을 통해 구시대적이고 배타적으로 구전되고 있는 곳도 있기 때문입니다.

-<현직 임상심리사들이 알려주는 생생한 임상심리사 진로가이드북> 중에서

http://aladin.kr/p/mNZdx

현직 임상심리사들이 알려주는 생생한 임상심리사 진로가이드북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들과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생활 및 준비 사항, 임상심리사 수련 과정, 실무 및 진로와 현직 임상심리사들의 인��

www.aladin.co.kr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