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부하는 것들

[논문소개] 불면증의 뉴로피드백

Tinker, Tailor, Soldier, Writer 2018. 9. 2. 16:15

직업적으로 좋은 상담자가 되는 것과 더불어 필자의 주요 관심사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개입을 할까'이다.

그래서 사실 상담이 모든사람들에게 능사가 아니라는 점을 받아들이고, 개인에게 정말 필요한 개입을 적절하게 컨설팅 해주는 것도 나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상담 수련을 하는 와중에도 대학원 재학 당시 부터 관심이 있어서 연구를 했던 뇌파(EEG)를 활용한 분야인 '뉴로피드백'은 주기적으로 논문과 아티클을 읽어왔었고, 최근에 논문 사이트를 뒤지다가 마음에 드는 논문을 찾아서 소개하려고 한다.

논문제목은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불면장애 치료: EEG Beta 감소 프로토콜'이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최승원 교수님은 덕성여자대학교에서 뉴로피드백 연구를 오래동안 해 오신 것으로 유명하다. 덕성여대에 산책을 하러 가보면 불면증 피험자를 모집한다는 포스터를 계속 보긴해왔는데 이렇게 논문으로 나오니 반가웠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불면장애는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면의 양이나 질에 대한 불만족감을 호소하는 것

- 불면장애의 기존 치료법에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대표적

- 불면장애 환자들의 수면 중에 나타나는 뇌파 특성은 비렘수면 2단계 동안 Beta(18-30Hz)파와  Sigma파(12-15Hz)가 정상인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는 것

- 주간에 실시된 뇌파 연구에서도 불면자앵 환자들의 뇌파 중 Beta파가 낮 시간에 깨어있는 동안에도 유의하게 증가

- 불면장애 환자들의 잠자기 전과 일어난 후의 뇌파를 측정한 연구에서는 불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Beta파와 Gamma파(31-50Hz)가 유의하게 높은 것이 관찰

- Beta파의 과도한 활동과는 달리, 수면 중 Sigma파의 활동은 수면방추와 관련된 수면 보호 메커니즘의 지표 및 소음에 대한 수면 안정성의 지표로 여겨진다.

- 뉴로피드백은 미국심리학회의 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ADHD, 뇌전증, 불면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난독증, 물질남용 장애, 우울장애, 이명 등의 치료법으로써 연구됨.

- Beta파 감소 프로토콜은 환자들의 좌측-전두 영역의 뇌파 중 Beta파를 감소시키고, Sigma파를 평상 시와 같게 유지시키는 것을 치료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의 Beta 감소 프로토콜은 치료 후 참가자들의 Beta파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 뿐만 아니라 수면양상에서의 향상을 나타내는 Alpha파 증가 현상까지 나타남 -> 불면장애 환자들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정확히 반영

 

아주 자세히 정리를 하지는 못했지만, 뉴로피드백 치료의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논문이라고 생각된다. 연구실제에서 많은 제한이 있었을텐데 이렇게 논문으로 결과를 내어 현장에서 뉴로피드백을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에 도움을 준 연구인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